특화사업
HOME > 사업소개 > 행복센터 > 특화사업
-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Suwon Happiness Mental Health Welfare Center)는 수원시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신건강사업 연구/개발을 위해 2014년 1월 새롭게 출범하였습니다.
수원시민의 생애주기에 따른 평생정신건강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정신건강 생활화를 위한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 확산,
수원시 내 정신건강센터의 전문성 강화 및 지역연계시스템 확립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신건강의 역사를 새롭게!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가 앞장섭니다.
- 정신건강 사업기획
- 행복사업 참큰늘다
- 금메달 도시
- 정신건강 자원봉사단
- 정신건강평생통합관리
정신건강 사업기획
과학적 평가를 기반으로 정신건강사업을 기획·연구·평가하여 수원시민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예방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정신건강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앞장서고 있습니다.

사업 추진도
행복사업 참큰늘다
참 행복 ‘행복의 참의미를 깨닫다’
큰 행복 ‘긍정습관으로 행복에너지를 키우다’
늘 행복 ‘늘 우리곁에 행복이 있음을 느끼다’
다 행복 ‘모두가 다같이 행복을 누리는 사회를 만들다’
금메달 도시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긍정적 행동습관 강화 프로그램 ‘금메달’

정신건강이라는 말이 단순히 정신질환이 없는 상태를 뜻하지 않습니다. 재능실현, 스트레스 관리, 생산성 향상, 지역사회 공헌이 정신이 건강한 상태라고 합니다. 즉 정신이 건강한 상태를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내 인생의 금메달’이라고 말합니다.
‘내 인생의 금메달’을 응원합니다!
건강을 위해 다이어트를 하거나 스펙을 쌓기 위해 자격증을 취득하고 학생들은 원하는 학교 진학을 위해 공부하는 등 저마다 연초가 되면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합니다.
그러나 3일 정도가 지나면 계획이 흐지부지되었던 경험들을 한번쯤을 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모두 자신의 성장, 행복 등을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말처럼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는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행동학습이론에 기반해 국내외 학술계에서 인정받은 ‘내 인생의 금메달’을 실시하여 시민들의 행복을 찾도록 돕고자 합니다.
금메달도시 구현
우리는 당신의 금메달을 응원합니다!
수원시민들이 모두 금메달을 가질 수 있도록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가 응원하겠습니다!
수원시민들이 모두 금메달을 가질 수 있도록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가 응원하겠습니다!
아동ㆍ청소년 행동수정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행복

타인 또는 지역사회 성장

금메달 | 실천내용 | 금메달수여 |
---|---|---|
‘친구 사귀기’ | <친구와 이야기하는 방법> 등, 사회성향상 기술 | ‘칭찬 스티커’ |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를 이기는 방법> 등, 보건복지부 | ‘행복한 직장’ |
‘행복’ | <행복 10계명>등, 행복수칙 | ‘정신건강 증진’ |
‘지역사회 성장’ | 타인 또는 지역사회 성장을 위한 자원봉사 활동 | ‘지역사회 공헌’ |
정신건강 자원봉사단

함께 움직이는 세상!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정신건강 자원봉사단을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스스로 기획하여 실천할 수 있는 정신건강 자원봉사단 행복지킴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행복센터는 자원봉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질환별 정신건강 교육과 모든 과정을 이수한 자원봉사자를 정신건강 준전문가로써 꾸준한 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모합니다. 이와 같이 스스로 기획하고 실천하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원봉사자의 행복증진 및 사회성 향상, 자존감 고취에 기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원봉사자의 동기 부여 및 보상을 위한 랭킹제 운영, 우수 자원봉사자 표창 및 명예의 전당 등록 등 다양한 활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함께 움직일 준비가 되셨나요?
행복지킴이 양성과정 (초급,중급,고급 가칭 ▶ 33%, 66%, 99%)

1) 행복지킴이 기본교육
2) 행복지킴이 실천


정신건강평생통합관리
생애주기별 핵심 12개 정신질환관리
구분 | 핵심질환 | 유병률 |
---|---|---|
영유아 | 발달장애 | 언어발달지연 3~5% 자폐스텍트럼장애 1~2% |
아동청소년 | ① ADHD | 8.0% |
② 인터넷중독 | 10.0% | |
③ 소아우울 | 10.0% | |
성인 | ④ 조현병 | 1.0% |
⑤ 기분장애 | 6.7% | |
⑥ 불안장애 | 8.7% | |
⑦ 알코올중독 | 13.4% | |
⑧ 니코틴중독 | 7.2% | |
노인 | ⑨치매 | 9.2% |
⑩ 노인우울 | 33.1% | |
⑪ 화병 | 5.0% | |
⑫ 수면장애 | 50% | |
전 생애 | 자살 | 인구 10만명 당 27.3명 |
수원시민의 12개 생애주기별 대표 정신질환을 예방 관리하는 App으로 3분 안에 자신의 정신건강을 확인하여 3일내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고 3개 이상의 정신건강 프로그램 참여가 가능합니다.
-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기술 : 기존 1만여 명에게 제공한 직접서비스의 한계를 벗어나 125만 수원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직간접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U-헬스케어(Ubiquitous Health Care) 시스템 구현 :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자가 검진 한 결과를 전문가에게 전송하면 원격모니터링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한을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정신질환에 대한예방, 진단, 치료에 대한 도움을 주고 사후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