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뷰페이지
[사회공포증] 다른사람과 함께하는게 무서워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10-22 오전 10:41:46
이메일 suwonmhc@suwonmental.org 조회수 27

[사회공포증] 다른사람과 함께하는게 무서워요

 

사회공포증은 주로 대중 앞에서 말하기나 공연을 하는 것, 낯선 타인과 함께 대화를 하거나 식사를 하는것, 의견을 주고받으며 협동하는 활동을 하는 등의 상황에서 나타나곤 해요.

 

단순히 목소리가 떨리거나 얼굴이 빨개지고 땀이나는 등의 신체적 변화가 성격탓이야 하고 넘기기엔 지속적으로 반복될때 주의깊게 그 상황들에서 자신의 변화를 인지해야합니다.

 

혼자서는 비교적 잘 할 수 있는 활동들도 함께할때 두려움이 더 크게 느껴지는것인데요,
자신의 행동이 다른사람들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생각에 미리 겁을 먹고 창피함이나 수치심을 느끼거나 자신의 의견이 거절당하거나 내게 화를 내면 어쩌지 하는 생각이 꼬리를 무는 증상이예요.

 

<사회공포증 판단 기준>
- 공포를 느끼는 정도가 심하며 6개월 이상 지속
- 하나 이상의 사회적 상황과 관련
- 동일한 상황에서 거의 항상 발생
-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에 대한 공포심
- 해당 상황을 피하기 위해 행동변화
- 실제 위험에 비해 과도하게 반응
- 상당한 고통이나 현저한 기능 손상을 초래

 

인지행동치료와 약물치료가 병행될때 가장 효과적이며 만성질환이 될 경우 평생동안 지속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지행동치료>
상황 재구성을 통해 같은상황에서 느끼는 불안감을 감소시킵니다. 행동치료를 반복하며 두려움을 느꼈던 상황들이 다시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도록 반복,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해 변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약물치료>
항우울제와 항불안제를 같이 사용하는데 증상의 초기에는 항불안제와 자율신경조절제가 효과적이고 중기이후에는 항우울제가 효과적입니다.

 

 

사회공포증은 학업이나 직장생활 등의 사회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치료가 무엇보다도 중요한데요,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만성이 되어 치료하는데 더욱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도움을 받는다면 사회공포증을 극복하고 함께하는 즐거움에 대해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사회공포증 검사 자가검진
http://biosociety.net/
 

  • 이름 :   비밀번호 :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