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뷰페이지
망상장애-갈등과 문제를 만드는 비현실적인 생각과 잘못된 믿음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9-27 오후 3:08:58
이메일 suwonmhc@suwonmental.org 조회수 25


망상장애-갈등과 문제를 만드는 비현실적인 생각과 잘못된 믿음

 

 

 

 

여러분은 망상과 상상의 차이를 아시나요?

 

“인간이 맨 몸으로 하늘을 나는 꿈을 꾸는 것은 상상, 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행동하려는 것은 망상입니다. 누구나 하늘을 날거나 초능력을 가지는 상상을 하곤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하늘을 날거나 초능력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꿈을 그려보는 것, 이것을 상상이라고 합니다. 반면 망상은 실제로 근거가 없는, 실현 가능하지 않은 생각을 사실이라고 굳게 믿는 것입니다.


하늘을 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떨어지려고 하거나 사람들의 속마음이 들린다고 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을 망상이라고 합니다. 즉 이성적으로 생각했을 때 사실 판단이나 현실검증이 가능하냐는 것의 차이로 상상과 망상을 나눌 수 있습니다.


- 상상을 하는 것과 망상을 하는 것의 차이,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 마음건강로드맵 FAQ 45번 중”

 

 

 

망상은 조현병, 치매에서 보이는 증상이며 우울증이 심한 경우 망상이나 환청, 환시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망상의 종류가운데 우리가 가장 많이 들어본 것이 피해망상과 과대망상입니다.
피해망상의 경우 누군가 자신을 쫓아오거나 감시하고 있는 느낌이 든다고 호소하거나 학대, 폭력 등을 당하며 자신이 억압받고 있다고 믿는 모습을 보입니다. CCTV나 도청장치, 숨어서 보고 있다, 소리가 들리고 있다 등의 망상이 피해망상입니다.

 

과대망상의 경우 자신에게 뛰어난 초능력이 있다거나 스스로를 신적인 인물로 여기고, 남들은 쉽게 누릴 수 없는 막대한 부와 명예 등을 가졌다고 믿으며 행동합니다.

 

이외에도 유명인이 자신과 비밀연애를 하고 있다고 여기거나 사랑하는 사이라고 말하는 등의 색정망상, 아무 근거 없이 오로지 자신만의 망상에 빠져 배우자가 끊임없이 외도를 하고 있다고 여기고는 마찰이 생기는 질투망상 등이 있습니다. 의처증이나 의부증의 경우에도 바로 이 망상장애의 하나로 속하는데 근거 없는 의심으로 배우자를 몰아붙이고 스스로를 극심한 피해를 겪고 있다고 여깁니다.  

 

망상의 경우 외부와 차단된 채 집단의 구성원으로 생활하는 사이비종교에 경우 망상을 공유하며 타인의 조언에도 비현실적인 생각에 갇혀 현실과 망상의 차이를 구분 짓지 못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망상장애는 자신이 생각하는 망상의 전반적인 것을 모두 현실로 여기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치료에 나서지 않습니다. 망상장애 환자는 치료에 도움을 주려는 사람들이 자신을 헤치려하는 이들에게 조종당하고 있다고 여기거나 내가 가진 초능력이나 신적인 능력을 빼앗기 위해 나를 공격한다고 여기기도 합니다.

 

보호자의 끊임없는 설득이나 주변의 도움으로 치료를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항정신병 약물을 통한 치료가 우선적으로 진행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망상장애를 겪고 있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무엇보다도 주변사람들의 지속적인 설득과 치료독려, 도움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므로 이 과정에서 생기는 많은 마찰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회유방법을 통해 치료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름 :   비밀번호 :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