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뷰페이지
[성인ADHD] 내가 여전히 주의가 산만하다는게 느껴진다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1-03-15 오후 2:16:02
이메일 unit324@suwonmental.org 조회수 27


 

 

 

[성인ADHD] 내가 여전히 주의가 산만하다는게 느껴진다면?  

 

성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하는 중에 느끼는 주의산만.

 

"나는 왜 자꾸 이렇게 일의 마무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지?"
"왜 갑자기 화가나거나 충동적으로 일을 해버리는 등 감정조절이 되지 않는걸까?"
"차분하게 일을 하고 싶은데 내가 생각해도 정신없다는게 느껴져."

 

이렇듯 성인들에게서도 발견될 수 있는 질환 ADHD.


주로 아이들에게서 발견되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는 치료가 되지 않으면 성인이 되어서도 어려움을 겪게 되는 정신질환인데요, 성인의 경우 특히나 사회성이 부족해보이거나 성격이나 기질자체가 정신없고 질서없는 사람으로 보여지거나 평가받을 수 있어 아동청소년에 비해 관계에 있어서 좀 더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아동의 경우 ADHD의 원인의 대부분이 부모의 영향이라고 보고 있는데 부모가 ADHD였을 때 아이 역시 ADHD 일 확률은 57%에 해당한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우리 뇌의 전두엽이 실행하는 능력 가운데 순서나 계획 정하기, 언어 및 행동 능력 등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문제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아동청소년의 경우에는 횡설수설하며 말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자신의 물건을 챙기지 못하고 차례를 기다리지 못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지만 성인이 되었을 때까지도 ADHD를 치료하지 못한다면 시간약속에 늦거나 업무의 마무리를 하지 못하고 감정적인 충동이 들어 어렵다고 느끼며 점점 큰 불안감에 휩쌓이게 됩니다.

 

사회생활을 하는 중이라면 이러한 문제로 인해 지속적으로 지적이나 마찰이 생기고 자존감에도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게 됩니다.

 

성인 ADHD환자는 4%정도 발병률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국내 성인 가운데 80만명 정도는 ADHD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자칫 우울증과 증상이 비슷해보일 수 있어 우울증 치료나 우울감 해소에 집중하려고 하다가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기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자신이 겪고 있는 중대한 어려움이 무엇인지, 무슨 질환으로 인한 어려움인지를 제대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DHD는 전두엽의 문제이므로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약물치료를 통해 80% 이상이 치료에 효과를 보이며 대체로 집중력과 기억력, 문제처리 순서능력이 회복됩니다. 지적이나 문제상황에 계속 부딪히지 않으니 스스로 학습동기가 생겨 활동을 해나가기도 합니다.

 

약물치료를 시작함에 있어 우리사회는 아직까지도 편견이 많은 편입니다. 정신과약물은 사람을 늘어지게 하더라, 잠만 자게 하더라, 기억력이 악화되더라, 잠이 오지 않거나 입이 자꾸 마른다더라 하는 등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이 큰 편입니다.

 

하지만 이는 과거 정신과 약물에 대한 부작용으로 현대사회의 정신과 약물치료는 부작용이 최소화된, 효과 좋은 치료법으로 권고되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꾸준한 상담과 치료를 통해 약 복용과 부작용을 체크한다면 거부감 없이 정신질환을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자신의 마음에 이상함이 느껴진다면, 그로 인해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 자꾸만 어려움이 생긴다면 하던일을 잠시 멈추고 지금 내 마음이 어떤 상태인지, 건강한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합니다.

 

 

 

마음건강로드맵 App은 언제어디서나 나의 정신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입니다. 병원을 찾기 망설여진다면 우선 마음건강로드맵 앱을 통해 나의 정신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앱 메인화면에 있는 카카오톡 일대일 채팅을 통해 자가검진 결과에 대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치료를 잘 마칠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과 주변의 응원입니다.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질환의 치료를 위해 어려운 발걸음을 시작하는 수원시민을 응원하고 돕습니다.

 

스마트폰 어플 사용이 어렵다면 전화상담을 통해 스스로의 마음을 들여다봐주시기 바랍니다.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 031-253-5737(마음건강관리팀-내선 3)  

 

 

 

 

 

  • 이름 :   비밀번호 :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