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행복의 기술] 행복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1-01-05 오전 11:04:24 |
이메일 | unit324@suwonmental.org | 조회수 | 27 |
행복한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행복의 기술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때론 삶의 기술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의 삶이 그냥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 열심히 도전하고 공부하며 하나하나 이뤄나가듯 행복도 기술연마를 통해 나아질 수 있다는 의미죠.
행복의 기술을 잘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을 살펴보니 그들은 언제, 어디서나, 나를 우울하게 만드는 생각은 접어두고 나를 기분 좋게 만드는 생각만 한다! 하는 마음을 실천하고 있었어요.
또 행복한 사람들은 제일 나은 선택을 찾는데 집중하기 보다는 이정도면 괜찮아 싶은 것을 선택하는데 선택을 결정하고 나면 더 이상 선택을 바꿀 생각을 하지 않는답니다. 그래서 선택에 대한 후회도 미련도 적은 편인데요, 더 나은 선택지가 생겼다고 한들 자신의 결정을 주관적으로 평가하고 기존의 결정을 선택하는 것이 행복한 것임을 알고 있기에 후회 없이 따를 수 있도록 합리화합니다.
행복한 사람들은 특히 남과 비교하는 삶을 살지 않아요. 행복하지 않은 사람들의 경우 끊임없이 타인을 의식하고 비교하고 주의를 기울이느냐고 자신에게 집중하지 못하곤 합니다.
또 자기성찰을 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요. 스스로를 돌아보는 것은 자신을 이해하고 통찰력을 키우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기분이 좋지 않을 때 너무 자신에게만 빠져있는 것은 오히려 역기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어요. 행복한 사람들은 실패의 순간에 후회, 자책, 아쉬움 등 실패의 원인을 찾는데 빠져있지 않습니다. 지나간 순간에 집중하지 않고 앞으로 다시 도전할 일에 대해서 사고방식을 개방하기 때문입니다.
일상의 모든 순간을 보다 더 긍정적이고 즐겁게 해석하려고 하는 행복한 사람들은 불쾌하거나 힘든 일에 있어서도 유머를 잃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려고 합니다.
꼭 더 나은 완벽한 결과, 계획한 대로 해야 한다는 생각,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나야한다는 압박, 실패하더라도 자책하기 보다는 기분을 바꿔줄 수 있는 다른 일을 찾는 등의 행복의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들.
이런 삶의 기술을 항상 상요하기 때문에 행복한 사람들은 똑같은 일상 속에서도 더 행복하고 기분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답니다. 누군가는 이런 삶의 기술이 현명하지 못하다고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나 계산적이고 효율성을 따지는 일 처리 대신 때로는 느리지만 조금 더 세상을 긍정적으로, 천천히 바라보는 힘을 가지는 것도 필요합니다.
어떤가요? 행복의 기술이 생각보다 흔하고 단순한 방법이라고 느껴지시나요?
여러분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행복의 기술 한가지부터 천천히 기술을 연마해보세요. 매일 반복하는 과정 속에서 우리 모두의 행복이 성장할 것입니다.
행복을 연습하는 방법.
행복은 타고나는 것이 아닙니다. 행복은 연습해야하고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행복을 연습하는 것이 오히려 스스로를 더 불편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억지로, 떠밀려 하는 느낌이 이어진다면 행복연습을 멈춰도 좋습니다. 하지만 즐겁고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연습이라면 일상생활에서 한번씩 기억을 떠올려 행복증진을 위해 노력해보세요.
1. 몸을 느끼는 명상
명상을 할 때는 우선적으로 아무런 생각을 하지 말아야한다. 아무런 생각을 하지 않고 있음을 생각하고 있는 것조차 생각의 조각이 된다. 초연하게, 그리고 편안하게 앉아 어떠한 것에도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호흡에만 집중한다. 숨을 내쉬고 들이마시는 과정 속에서 몸의 움직임에만 집중한다. 호흡하는 과정을 느낀 후 천천히 자신을 믿고 응원하는 마음을 떠올린다. 마음을 열고 사소한 것도 처음 보는 것처럼 눈앞에 보이는 대상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보자. 불안, 걱정, 고민 등으로 생각을 곱씹던 자신을 내려놓고 현재 눈앞에 있는 대상에 대해서만 집중해보자.
2. 신체활동
신체활동에는 요령이 필요하다. 조금 빠른 걸음을 했을 때의 호흡 정도가 운동에 도움이 되는 정도다. 신체활동을 시작할 때는 평소 활동량에서 많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천천히 시작해야한다. 또 운동량과 시간 등을 기록해 두는 것이 좋으며 이미 신체활동을 하고 있다면 내가 가지고 있는 활력에 따라 운동량을 조절해 움직임을 갖는 것이 좋다.
3. 일부러 미소짓기
행복감을 행동으로 표현한다고 할 때 가장 좋은 것이 미소이다. 비록 오늘 하루가 나에게는 속상하고 우울하더라도 행복한 사람처럼 웃는 연습을 하는 것은 감정적인 위로를 전해줄 수 있다. 기분이 쳐져있다면 소리를 내어 웃지 않아도 좋다. 미간을 펴고 입꼬리를 올리고 자신이 웃을 때의 눈 모양을 생각하며 웃는 눈을 만들어보자. 거울 속 미소 지은 나의 모습을 통해 우리 뇌는 지금 당신이 행복한 기분을 느끼고 있다고 여기며 자극을 받을 것이다.
억지로 웃는 모습이 어떤 도움이 될지 의아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방식은 뇌를 그렇게 믿게 하는데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어요. 미간에 주름이 생긴 사람들에게 보톡스를 통해 인상을 쓰는 듯한 느낌을 덜게 하는 실험에게 참여자들은 미간주름 제거 이후 자신의 표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우울감도 덜 호소했다고 해요.
이렇듯 우리가 짓는 미소하나만으로도 달라지는 우리의 마음.
오늘은 거울 속 나에게 가벼운 미소를 한번 보여주세요. 기분 좋아지는 힘을 가질 수 있게 되실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