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코로나블루] 아이들에게 차분한 위로와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세요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0-10-05 오전 11:54:02 |
이메일 | unit324@suwonmental.org | 조회수 | 38 |
[코로나블루] 아이들에게 차분한 위로와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세요
감염병 재난은 사회적 재난입니다.
두려움과 현실적 불편감, 경제적 손실이 겹치면서 사회적 낙인이나 배척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감염병은 지속적으로 확산되며 집단적인 불안과 다양한 어려움을 가져옵니다.
과거 메르스 사태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감염병 재난 시 격리자의 3대 반응은 감염에 대한 불안, 현실적인 불편과 고립감에 대한 걱정, 낙인감입니다.
- 감염에 대한 불안 : 감염 혹은 사망 가능성에 대한 강박적인 생각, 뉴스 보도 과잉집착, 가족에 대한 걱정과 죄책감
- 현실적인 불편과 고립감 : 생업에 대한 걱정, 직장동료에 대한 미안함, 학업에 대한 걱정, 실제적인 외로움이나 식수, 식량의 부족
- 격리자의 낙인감 : 이웃의 부정적인 시선, 사회의 부정적인 시선에 대한 억울함, 분노
이 중 트라우마에 노출된 대상 가운데서는 소아청소년이 대상인 경우도 있습니다.
성인 이전의 시기에 트라우마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향후 정신질환에 대한 위험성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질병에 대한 취약성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트라우마를 겪은 소아청소년에게 조기에 심리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감염병 재난시 아이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나눠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 역시 성인과 같이 여러 경로를 통해 감염병에 대한 정보들을 얻습니다. 다양한 정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다보면 혼란, 불안을 느낄 수 있으며 스트레스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정보를 알 수 있는 곳과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알려주면서 어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답을 알지 못하는 정보에 대해서는 아직 모르겠다고 솔직하게 말한 후 정보를 찾은 후에 알려주겠다고 답하는게 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재난 후에는 감정반응(불안, 우울, 무감각 등),
신체반응(불면, 식욕저하, 두통 등),
인지반응(집중력 저하, 판단력 저하 등),
행동반응(과한 의심과 경계심, 대인관계 회피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소아청소년들은 대체로 우울, 불안을 호소하기 보다는 신체증상이나 등교거부, 공격적인 행동, 비행 등의 행동변화로 표현합니다. 소아청소년은 스트레스, 트라우마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큰 사건을 경험하고 나면 그 일과 관련된 것들이 생각나 예민해지거나 그것을 피하고 싶어 하거나 관련된 악몽을 꾸기도 하고(재경험), 깜짝 놀람, 두려움, 무서움, 슬픔, 가슴 두근거림, 불면, 손톱 뜯기, 손발 떨림, 어지럼 등을 겪고(과각성) 사람을 피하거나 만나기 두려워하고 사건과 관련된 언급만 있어도 자리를 벗어나고 싶어 할 수(회피) 있습니다.
이것은 충격으로부터 우리를 지키기 위한 우리 몸의 일반적인 반응이며 스트레스를 처리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일시적인 증상으로 자꾸 열을 재달라고 하거나 질문이 자꾸 반복되는 등의 모습을 보일 수 있지만 이것을 부모가 혼낸다면 아이들의 불안은 심해질 것입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듣고 충분히 공감해주며 해하기기 쉽도록 설명해주시면 됩니다.
기존에 우울감을 가졌던 아이들은 보다 더 심한 고통이나 증상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이로인해 일상생활이나 학업의 적응,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초래하고 주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등교거부나 적대감, 자해, 자살사고와 같이 심각하고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부모 및 돌봄 제공자는 소아청소년에게 매우 중요한 환경입니다.
부모 역시 감염병으로 인해 불안할 수 있지만 부모의 불안과 걱정은 아이에게 더 강한 불안으로 전달됩니다. 부모 스스로가 통제하기 힘든 불안으로 아이와 잦은 불화, 마찰이 생긴다면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용출처 : 소아청소년을 위한 감염병재난시 마음지침서-대한소아청소년 정신의학회 재난과 트라우마 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