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 [성인ADHD] 정신없는 나 그냥 내 성격일까? |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10-15 오전 11:44:18 |
| 이메일 | 조회수 | 21 | |

사회생활 중 문득, 이런 생각이 들진 않으셨나요?
“왜 일의 마무리를 자꾸 못하지?”
“왜 감정이 갑자기 폭발할까?”
“정신없이 일하고 있지만 스스로 답답했던 적.”
단순히 ‘성격 탓’이라고 넘기기엔 그 뒤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이유가
숨겨져 있을지도 모릅니다.

ADHD는 흔히 어린 시절의 문제로 여겨지지만
사실 어른이 되어서도 계속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 없이 성인이 되면 사회성 부족, 감정 조절의 어려움,
충동적인 행동 등으로 이어질 수 있죠.
국내 성인 중 약 80만 명이 ADHD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만큼 ‘성인 ADHD’는 더 이상 낯선 이야기가 아닙니다.

ADHD는 「성격 문제」 가 아닌 「뇌의 문제」입니다.
전두엽의 실행 기능이 약해져 계획·집중·조절이 어려워지는 질환이에요.
그래서 아무리 의지를 다져도 실천이 안 되거나,
감정이 폭발하고, 정리정돈이 힘든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성인 ADHD는 종종 ‘게으름’이나 ‘우울증’으로 오해받기도 합니다.

혹시 나도 그렇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면
지금이 바로 점검의 순간입니다.
병원 방문이 망설여진다면 「마로 App」 을 통해
간단한 자가진단부터 시작해보세요.
짧은 문답만으로 현재의 마음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 시 전문가 상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당신의 마음을 살피는 첫걸음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습니다.

ADHD는 충분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나 자신에 대한 믿음’입니다.
그리고 당신을 응원하는 마음들이 곁에 있습니다.
수원시행복정신건강복지센터는 그 믿음의 시작을 함께하며
당신이 스스로를 이해하고 회복할 수 있도록 언제나 곁에서 함께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