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 [아동 강박장애] 우리 아이의 완벽주의 |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5-04-03 오전 10:00:34 |
| 이메일 | 조회수 | 55 | |

오늘은 아동 강박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끔 아이들이 자신의 손톱을 물어뜯거나
이유 없이 머리카락을 뽑기도 하는데요
때문에 손톱에서 피가 나거나 탈모가 생기는 등
이런 모습을 보고 아이들이 걱정되시는 부모님이 계실 겁니다.
아동 강박증은 일반적으로 아동기
(대개 6세에서 12세 사이)에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강박증과는 다르게
강박사고를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행동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동 강박장애의 증상으로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강박사고 (Obsessions):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불안한 생각이나 이미지
예: 오염, 해를 끼치는 것, 특정 규칙 준수에 대한 강박적인 생각
이러한 생각은 아동에게 심한 불안을 유발하며,
이를 피하려는 노력을 하게 만듭니다.
강박행동 (Compulsions):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을 줄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행동
예: 손 씻기, 물건 정리, 특정 숫자나 순서로 행동하기
아동은 이러한 행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다고 느끼며,
비합리적임을 알면서도 계속하게 됩니다.

아동강박장애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신경생물학적 요인:
뇌의 특정 부위, 특히 기저핵과 전두엽의 기능 이상이
강박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강박사고와 행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 요인:
아동이 성장하는 환경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 트라우마,
부모의 과도한 통제나 비판적인 태도가
강박장애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심리적 요인:
아동의 성격이나 인지 스타일이 영향을 미치며,
완벽주의 성향이나 높은 불안감을 가진 아동이
강박장애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발달적 요인: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특정 사건이나 경험이
강박장애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지나친 강박은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왜 불안해하는지를
충분히 이야기를 들으며 부모가 아이의 강박 행동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안요인을 제거하고,
아이가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세요
아동 강박증 증상 치료는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이가 보내는 신호를 놓치지 않고, 불안 요소를
줄이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아동 강박장애에 대해 알아봤어요.
우리 아이에게 특정한 물건이나 장소에 대한 집착,
일상적인 활동에 대한 과도한 시간 소모
우리 아이의 반복적인 행동, 지나친 청결의 모습이
보인다면 아동 강박장애를 의심해 보세요.
치료를 받는 것은 결코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마음과 몸을 소중히 여기고, 필요할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지금 바로 필요한 조치를 취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