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뷰페이지
[강박장애] 나도 모르게 자리잡은 완벽추구성향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01-24 오전 11:01:13
이메일 조회수 33


 

 

[강박장애] 나도 모르게 자리잡은 완벽추구성향

 

우리 주변에는 꼼꼼하게 자기 관리를 잘 하는 사람으로 대표되는 이들이 있습니다. 

친구들 사이에서 또는 직장이나 사회생활, 일상에서 이들은

 '철두철미한 성격', '완벽을 추구하는 성격' 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곤 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책임감이나 성실성으로 표현되는 것을 넘어 지나칠 정도의 완벽추구, 

강박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이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스스로 또는 주변사람들에게 과도하다 표현될 만큼의 

강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 완벽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자책을 하는 등 스스로를 억압하는 문제로 

고민이 된다면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강박적인 모습을 보이는 원인에는 생물학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생물학적 요인 : 뇌의 특정 부위, 특히 전두엽과 기저핵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유전적 요인 : 정신질환의 유전적 요인을 가진 경우

심리적 요인 : 불안이 높거나 예민함이 있는 등의 성격적 기질, 사고 방식의 경우 

환경적 요인 : 과도한 스트레스나 트라우마 등을 겪은 경우 


 

 

단순히 일시적인 모습이 아니라 걱정, 불안,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과도한 행동이나 일상의 변화에 대해 대비하는 등 '완벽추구'의 모습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상황에서는 스스로도 점점 지쳐갈 수 있습니다. 

 

넓게 보면 불안장애의 한 범주인 강박장애는 여러 요인 가운데 

뚜렷하게 무엇이 원인이다 말할 수 없기 때문에 평소 자신의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도움이 필요한 부분을 인지하여 

스스로의 마음이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로 경험할 수 있는 강박장애 증상으로는 강박적인 사고나 

행동, 일상에 지장을 줄 만큼의 시간소모,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과도한 행동, 비합리적이라는 것은 알지만 제어가 되지 않는 마음 등입니다. 

 

 

- 강박사고 :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 이미지 또는 충동이 나타나며, 이는 개인에게 불안이나 고통을 유발합니다. 

- 강박행동 : 강박사고로 인한 불안을 줄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행동이나 의식입니다. 

- 시간소모: 이러한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불안감 : 강박사고가 발생할 때 불안감이 커지며, 강박행동을 통해 일시적으로 불안을 완화하려고 합니다.

- 자기 인식: 많은 경우, 개인은 자신의 강박사고와 행동이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인식하지만, 이를 통제하기 어려워합니다.

 


 

성격적인 요소로 보기에는 강박적인 행동으로 인해 

약속에 늦거나 다른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 

걱정과 불안으로 다른 일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생각했던 것과 다른 결과가 나타났을 때 생기는 극도의 불안이나 분노 등 

감정이 통제되지 않아 어려운 경우 등 힘듦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활패턴으로 마음이 지친 상태라면 정신건강전문가와의 

구체적인 상담을 통해 현재 나의 마음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이 우선 필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또는 행동에서 유독 불안을 느끼는지, 

강박적인 모습을 보이는지 인지하고 이를 건강하게 

바로 잡아나가는 치료를 통해 변화를 시작해볼 수 있습니다.  

 

 

  • 이름 :   비밀번호 :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