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뷰페이지
[산후 우울증] 산모의 마음을 지켜주세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4-11-27 오후 3:36:13
이메일 조회수 37


 

 

부모가 된다는 기쁨도 잠시, ‘엄마’라는 단어가 주는 무게감에 눌려서  

자신을 한없이 질책하고 후회하며 나아가 죄책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런 가운데, 사람들이 산후 우울증에 대해서는 들어본 적이 있지만, 

산후 우울감에 대해서는 잘 모르거나 두 질환을 비슷한 질환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두 질환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어떤 치료 방법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산후우울감은 산모의 75%, 10명 중 7명은 경험할 만큼 흔하며  경우에 따라 일시적이기 때문에 

별다른 치료 없이도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 산후우울감은 출산 후 3~5일 가량부터 감정변화가 시작되어 수일,  

수주 내로 점차 사라집니다. 가벼운 짜증, 일시적인 슬픔, 이유 없이  흐르는 눈물 등이 

잠시 나타나게 되는 것이 주된 특징입니다. 

 

 


 

 

반면 산후우울증은 산모의 15%가 경험합니다.  

10명 중 1~2명은 산후우울증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것입니다. 산후우울감과 산후우울증은 

매우 다른 형태를 보입니다. 산후우울증은 우울감으로 시작하여 수개월 혹은 수년까지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육아를  도와주는 사람들이 없을 때 더 자주 발생하며 과거 기분의 문제 혹은 가족력이 있을 때도 잘 발생합니다. 

대부분이 수면의 문제를 보이며 과도한 죄책감과 자신의 생명뿐만 아니라 아이를 해치는 생각이 수반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두 질환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산후우울증이 의심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진단을 받게 되면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3~6개월 동안 치료가 진행 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상담과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상담은 인지교정을 통해 산모가 느끼는 죄책감을 덜어주는 데 도움을 주며, 

약물치료는 모유수유를 고려해 신중히 결정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각한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처방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가의 도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가족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엄마가 되는 것은 결코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며 작은 생명을 지켜내고

세상 밖으로 이끌어낸 고귀한 일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를 자책하며 혼자 힘들어 하기보다는, 

현재의 감정을 가족과 솔직히 나누고 함께 극복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족이 옆에서 공감하고 지지해준다면, 산모에게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 이름 :   비밀번호 :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