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뷰페이지
[계절성 우울증] 우울함이 스며드는 계절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10-13 오전 9:58:31
이메일 suwonmhc@suwonmental.org 조회수 19



 

 

"나, 가을 타나봐" 

 

유독 가을만 되면 이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왜 그런 걸까요?

 

"계절성 우울증으로, 계절의 변화가 몸과 마음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증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우울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일조량의 변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을과 겨울 계절에는 날씨로 인해 외부 활동보다는 

실내 활동이 증가하며, 햇빛을 쬐는 시간이 줄어듭니다. 

 

햇빛은 '세로토닌'이라는 행복 호르몬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데, 

이 호르몬이 감소함에 따라 계절성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계절성 우울증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데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시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밤낮과 관계 없이 계속해서 심한 졸음을 느끼는 경우

이 계절 시기만 되면 비슷한 증상을 겪는 경우

감정 기복이 심해져 슬픔을 자주 느끼는 경우

평소보다 의욕이 부족하고 예민한 경우

평소보다 집중력이 떨어지는 경우

이유없이 눈물이 나는 경우

 


 

 

계절성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규칙적인 운동입니다. 

계절 특성상 활동량이 확연히 줄어드는 시기이기 때문에 

움직임이 제한되고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우울증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운동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햇볕을 쬐는 것입니다. 

계절성 우울증의 원인은 일조량의 감소로 인한 

호르몬 변화로 발생한다고 이전에 언급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일조량 부족은 

가을과 겨울에 외부 활동이 줄어드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추운 날씨라도 따뜻한 외투를 입고 

의식적으로 햇볕을 쬐러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방법은 나만의 취미 활동입니다. 

자전거 타기, 명상과 같은 정적 또는 활동적인 취미를 즐기면 

우울한 기분을 해소하고 삶에 활력을 불어넣어줍니다.

 

네 번째 방법은 반신욕입니다. 

10~15분 동안 따뜻한 물에 몸을 담그는 것은 

몸의 긴장을 풀어주며 마음의 안정을 찾는 좋은 방법입니다.

 

만약 제시된 방법들을 시도하더라도 

지속적인 우울감이 계속되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스스로 참거나 회복되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정신건강 전문가에게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 이름 :   비밀번호 :
  • 덧글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