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행위중독] 사람들은 왜 인터넷에 중독이 될까?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08-30 오후 3:52:32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12 |
[행위중독] 사람들은 왜 인터넷에 중독이 될까?
현대사회에서 중독의 개념은 단순히 약물이나 물질 등의 개념을 넘어
도박,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에 이르는 행위중독의 개념으로 확산되었습니다.
특히 한국은 세계 IT 강국으로써 인터넷에 대한 높은 접근성과 스마트폰 보급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10~20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과다하다 조사되었던 것과는 달리 전 연령에 걸쳐 높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보이고 있을 만큼 누구나 행위중독에 취약한 문제에 처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사람들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게임 등 행위중독에 빠지게 되는 이유는
단순하지만 이를 해결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병적으로 도박을 하는 중독의 기준에서 인터넷 중독에 대해 살펴본 킴벌리 영(Kimberly Young)은
다섯가지 요소를 통해 인터넷이라는 가상세계가 제공하는 중독요소에 대해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1)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2) 성적 만족 (sexual fullfillment)
3) 새로운 인격창출 (creating new persona)
4) 억압된 성격의 표출 (unlocked personalities)
5) 인식과 힘 (recognition/power)
익명성을 통해 나를 드러내지 않고 새로운 인격을 보이거나
억압되었던 부분을 표현하거나 또 도피 혹은 탈출구로써의 성활동을 하려는 등
정신적 긴장을 벗어나거나 환상을 가지려는 욕망을 보임으로써 인터넷 세계를 활용한다고 말합니다.
인터넷 연결환경만 주어진다면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게임, 주식, 채팅 등의 흥분과 쾌락을 불러일으키는 중독 환경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 라이더 대학의 존 슐러(John Suler)박사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으로 접할 수 있는
가상세계가 진짜 보다 더 강한 만족감을 주기 때문에 유혹에서 벗어나기 힘든 공간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가짜라는 것입니다. 현실과 가상과의 간극이 크게 벌어질수록
이용자들의 고뇌나 고통, 현실에서의 불만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를 중독이라 지적하면 짜증을 내거나 분노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더 큰 중독과 가상세계가 주는 편안함, 만족감에 빠지게 됩니다.
행위중독은 현대인들에게 결핍된 것들을 채워주는 느낌을 주기에 더욱 큰 중독상태에 빠지게끔 합니다.
1) 경제적 보상으로서의 돈
2) 기분의 변화와 심심함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쾌락
3) 외로움과 고독에 대한 보상으로서의 친구
4) 정체성 위기와 소속감에 대한 위기로서의 지위
이런 보상은 현실처럼 지속적으로 노력을 해야한다거나 긴 시간을
투자하는 과정 없이 원할 때 언제 어디서나 시도가 가능하다는 즉각성과 특별한 노력없이도 얻거나
가질 수 있다는 우연성, 계획에 없다가도 실행해볼 수 있다는 충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터넷환경이 현실처럼 즉각성이나 우연성, 충동성이 없다고 하면 중독은 지연되겠지만
대게 중독환경을 조성하는 쪽은 이윤을 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를 배제하는
건강한 인터넷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중독은 대게 우리가 허기에 차 있을 때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일어납니다.
여러분은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 등을 활용하면서 어떤 보상을 받고 있나요?
중독을 살피기 전에 우선 확인해야하는 점은 우리가 어떤 보상을 받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부터 시작합니다.
외로워서, 더 갖고 싶어서, 슬퍼서, 불만스러워서 하는 상황에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켰을 때 우리는 허기짐이 채워졌다고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다시 현실세계로 나왔을 때 아무런 보상이 없거나
가지고 있던 보상을 잃어버린듯한 착각에 빠져 더욱 더 큰 허기나 공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지루함을 달랠 순 있지만 진짜 갈증을 풀어주는 것은
현실에서 얻은 값진 노력의 성과만이라는 걸 명심해야합니다.
현실의 온기를 느끼지 못하는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스스로의 마음과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스마트폰, 인터넷, 게임 등의 행위중독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이 느껴진다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어려움을 바로 잡아나갈 수 있기를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