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소아 우울증] 아이들을 위한 내면 건강 관리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07-18 오전 10:28:24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14 |
[소아 우울증]
우울증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지만,
나이에도 상관 없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2020년 기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9세 미만 어린이는 4,331명, 10-19세 청소년은 37만 9,244명이
우울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소아 우울증은 성인에 비해 감정, 인지발달이 미숙하여
성인 우울증 같이 직접적으로 감정을 드러내기 보다는 짜증을 내는 등의 다른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자녀가 평소와는 다르게 짜증을 많이 내거나,
혼자 방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등의 모습을 보이면 소아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성인 우울증과는 다르게 생소한 소아 우울증의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까지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인 우울증이 다양한 이유로 발생하는 것처럼,
소아 우울증의 원인 또한 다양합니다.
첫번째, 화학적 요인으로는 호르몬의 불균형이나
신경전달물질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가정 내 환경적 요인으로 부부 간의 이혼, 잦은 다툼,
갈등, 학대와 같은 문제가 소아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세번째, 왕따와 같은 사회적인 교우관계에서도
소아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소아 우울증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데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시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말수가 확연히 줄어든 경우
작은 일에도 화가 많아진 경우
작은 실수에도 사과를 많이 하는 경우
잘 사용 안 하던 극단적인 말을 하는 경우
평상시랑 다르게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는 경우
외부 활동보다는 방에 있는 시간이 늘어난 경우
소아 우울증을 방치하면 만성으로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80% 이상 완치될 수 있으므로 부모의 도움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도움이 필요 합니다.
첫번째로,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따라서 부모님은 아이의 평상시와 다른 표정과 태도를
주의 깊게 관찰하며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두번째로, 아이가 부정적인 경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울증 증상은 부정적인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에게
더 많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좋아하는 활발한 활동을 함께 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즐거움과 활기를 느끼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