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연극성 인격장애] 관심받지 못해 불안하다면?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07-11 오전 10:32:57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16 |
[연극성 인격장애] 관심받지 못해 불안하다면?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거 히스테리성 인격장애로도 불렸습니다.
이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관계에서 자기중심적인 성향을 나타낼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시선과 관심을 받고자 하는 강한 욕구도 나타내는데,
이를 실현하지 못하면 극심한 불편함을 느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극성 인격장애는 전 세계 인구의 약 1~3% 정도에 해당하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며,
특히 남자보다는 여성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떤 원인과 증상들이 연극성 인격장애와 관련되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극성 인격장애는 어린 시기에 겪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 어머니의 보살핌 아래에서
적절한 관심과 사랑을 받아야 할 나이에
어머니로부터 그러한 애정이 부족한 상황이 오게 되면,
아버지에게서 그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랑과 관심을 무조건 받겠다는
의지를 가지면서 자신의 감정을 과장하게 표현하면서
연극성 인격장애의 경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극성 인격장애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데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시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관심 받기 위해 육체적 외모를 활용하는 경우
관심의 초점이 자신에게 향하지 않으면 불편한 경우
상황과 맞지 않는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경우
인상적인 표현을 사용하지만 내용이 없는 경우
주변 영향을 많이 받아 피암시성이 높은 경우
자기 연극화, 과장된 감정표현을 하는 경우
연극성 인격장애는 세월이 흐르면서
나이를 먹으면 증상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성격적 특성에 의해 이러한 행동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연극성 인격장애의 증상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상담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은데,
이러한 연극성 인격장애 환자의 행동이나 성격을 지적하게 되면
방어기제 성향이 강해질 수 있기에 주변 사람들의 이해와 공감이 중요합니다.
또한, 이와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알코올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