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화병] 가슴 속 억압된 감정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06-22 오후 3:52:21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23 |
[화병] 가슴 속 억압된 감정
"나 이러다 화병 날 거 같아!"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와 유사한 표현을 자주 사용합니다.
여기서 언급된 ‘화병’은 부당하고 힘든 일들로 인해
마음에 쌓이고 쌓인 오랜 분노가 해소되지 못하여 가슴에 응어리진 질환을 의미합니다.
화병은 한국에서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로,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질환입니다.
1995년 미국 정신의학회에서도 화병을 한국 사회의 특이한 민속증후군으로 인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화병이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제 화병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원인, 증상, 그리고 치료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 언급한 대로, 화병은 쌓인 분노가 해소되지 못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그렇게 쌓인 분노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화병의 원인도 다양합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외부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화병의 첫번재 주요 원인입니다.
인간관계, 경제적 어려움, 직장에서의 갈등 등이 이에 속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쌓인 분노를 해소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화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원인은 가족 중 화병 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 경우,
해당 유전적 요인이 전달될 가능성이 높아져 개인의 화병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원인은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나타납니다.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는 분노로 전환되어 화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병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데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시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속 터질 거 같이 가슴이 답답한 경우
사소한 일에도 화가 나는 경우
수면패턴이 불규칙해진 경우
식욕 변화가 생긴 경우
한숨을 계속 쉬는 경우
호흡이 어려운 경우
소화가 안되는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화가 치밀 때는 "30초 호흡법"을 활용하여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내쉬며 마음을 진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기 집중과 내면 평화를 가져오는 시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자신에게 맞는 활발한 활동인 운동이나 모임을 통해
건강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일상생활에 문제를 초래할 정도로 심각하게 나타난다면,
전문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약물치료와 심리상담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의 경우, 항우울제와 안정제와 같은 약물을 처방받아 도움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