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강박장애] 집착 증상이 보인다면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04-10 오후 5:09:27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15 |
[강박장애] 집착 증상이 보인다면
"가스 밸브를 제대로 끄고 나왔나?"
"하수구 밟으면 운 나쁘니 안 밟아야지"
이와 같은 생각에 사로 잡힌 적 있으신가요?
일상을 살아가면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 할 수도 있는 문장입니다.
하지만 나를 괴롭히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고,
저 생각들이 힘들어 무시하고자 다짐 했음에도
결국에는 불안함을 견딜수 없어 마음의 안정을 위해 나를 힘들게 하는 규칙을 지속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를 '강박장애'라 부릅니다.
강박장애를 떠올리면 성인이 겪는 질환으로 생각하지만,
최근 청소년 사이에서도 강박장애 증상이 나타나고 있어
어떤 원인에 의해 이 증상이 나타나는지, 어떤 치료 방법 등이 있는지 자세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마음의 적 강박장애는 왜 나타나는 걸까요?
단순히 한 가지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이 아닌 유전성, 생물학적, 심리적 문제로 발생합니다.
강박장애는 유전성이 강한 질환으로
강박장애를 앓았던 가족이 있다면 강박장애 증상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다음으로 생물학적 문제로 신경전달 물질 세로토닌이 부족 할 경우에도 영향을 줍니다.
마지막, 심리적 문제로 과도한 스트레스 및 불안 문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장, 정리, 확인, 오염 등 강박증 유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한다면 치료 반응이 좋습니다.
따라서 내 자녀에게 강박증 증상이 있는지 세심하게 살펴 위험한 상황 막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박장애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데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시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정해놓은 규칙을 안 지키면 불안한 경우
물건들을 바르게 정렬하는 경우
안쓰는 물건들도 보관하는 경우
질병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경우
청결에 지나치게 예민한 경우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경우
나만의 규칙이 있는 경우
강박장애 치료 방법으로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방법이 있습니다.
성인이 강박장애를 앓고 있다면, 약물 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방법을 병행합니다.
다만, 성장기 청소년 약물 치료의 경우,
성인 대비 치료 효과가 생각보다 잘 나타나지 않아 인지행동치료 방법을 권합니다.
강박장애는 건강한 나의 삶을 파고드는 좀벌레와도 같아,
위와 같은 치료 외에도 나와 주변의 노력이 치료만큼 중요합니다.
첫번째, 내가 느끼고 있는 불안 요소를 노출시켜 자극에 익숙해져가면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두번째, 긍정적 마음가짐으로 강박장애 치료는
한 번에 낫는 질환이 아니다 보니 도중에 포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수록 긍정적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이 편안한 환경 만들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