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사회 불안 장애] 지금 괜찮은가요?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3-03-29 오후 5:39:13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20 |
[사회 불안 장애] 지금 괜찮은가요?
3월, 새학기가 시작되면 새로운 친구들 앞에서 나를 소개합니다.
낯선 공간, 낮선 사람들 앞에서 주목 받으며 목소리 내는 일은 누군가한테는 긴장되고 불안하지만,
누군가는 기다렸다는 듯이 큰 목소리로 소개합니다.
그렇다면 전자의 경우를 '사회불안장애' 라고 할까요? 그거는 아닙니다.
이러한 경우는 개인 성향의 차이일 뿐입니다.
그렇다면 '사회불안장애'는 뭘까요?
발표 등 사람들 앞에 서서 말 하는 행동이 아닌 일상 속 행동 중
사회적 상황 노출되는 것에 불안, 긴장감을 넘어서 공포감까지 이르게 되어
사람들과의 대면을 회피하여 일상생활까지 힘들어지는 것을 '사회불안장애'라고 불립니다.
좀 더 자세하게 사회불안장애 원인과 치료방법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불안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는 청소년들이 성장하는 과정 중 심리적 외상이 있었을 때 발생 확률이 높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심리적 외상은 어떤 행동을 취했을 때 부끄러운 일을 겪었을 경우,
상대방으로부터 거절을 심하게 당했을 경우 등을 의미합니다.
그렇다 보니 또래들과 접점이 많은 학창시절에 많이 겪습니다.
하지만 사회불안장애가 무엇인지 알아도 청소년들 치료가 힘든 이유는
심리적으로 힘들어도 부모님에게 나의 심리상태를 잘 이야기 하지 않을 뿐 아니라
감정을 숨기고 생활하기 때문에 부모님이 알아차리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런 상태가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학업과 대인관계 문제로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불안장애로 의심되는 증상들을 미리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사회불안장애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이는데요,
아래와 같은 증상이 지속되고 있어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시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불안, 초조한 마음에 몸이 경직되어 있는 경우
사회 환경에 노출되면 숨이 차고 땀나는 경우
눈 앞에 놓인 두려운 상황을 회피하는 경우
해야하는 일을 못하고 마음이 불안한 경우
작은 실수에도 두려워하는 경우
잠을 깊게 못 자는 경우
사회불안장애로 힘들어하는 자녀에게 어떤 방법이 심리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재발 가능성이 적고 가장 효과적인 인지행동치료방법이 있습니다.
사회적으로 겪으면 가지고 있는 왜곡된 사고, 부정적 사고를 재구성하는 방법입니다.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나, 발표를 바라보는 나 이렇게 역활을 번갈아가며 하는 연습과
긴장 이완 훈련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회와 마주 할 시간이 점점 늘어가는 나의 자녀가
타인의 시선에 긴장, 불안을 넘어 공포감에 휩싸여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기 전에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정신건강전문가나 정신건강의학과의 전문의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