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바로알기
HOME > 정신건강정보 > 정신건강바로알기
[수면각성장애] 24시간 하루 주기를 갖는 생체시계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2-05-09 오후 4:42:07 |
이메일 | suwonmhc@suwonmental.org | 조회수 | 32 |
[수면각성장애] 24시간 하루 주기를 갖는 생체시계
수면장애에는 졸음(기면증), 야경증, 몽유병, 렘수면 행동장애, 수면파괴, 입수기/입면기 환각, 수면마비 등이 있습니다. 그 중 수면각성장애의 경우 일주기 리듬이 깨져 발생하는 수면장애를 말합니다.
사람들은 수면과 수면에서 깨어있는 각성 상태가 약 24시간이라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주기는 매일 해가 뜨고 지는 낮밤의 길이에 자연스럽게 적응하여 24시간 주기를 완성하게 되는데 우리는 이를 일주기 리듬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몸이 가진 생체시계는 24시간 보다는 긴 편이지만 24시간으로 구성되는 하루라는 시간동안 일주기리듬은 수면과 각성을 따르게 해주는 일을 하는데 대뇌의 시교차상핵에 의해 생체시계를 받아들이며 이에 따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생체시계는 일상생활에서 방해를 받게 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교란이 생겨 수면각성장애를 경험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잠자리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습관, 잦은 업무시간의 변경, 식사 및 수면시간의 불규칙성, 주야 교대근무, 해외여행 시 경험하는 시차로 인한 불편감 호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주요 증상은
1) 보통 수면을 이루는 시간보다 2시간 이상 늦어지는 수면시간을 경험하는 것, 늦어진 취침 시간만큼 늦게 일어나게 되는 것을 경험하는 것(뒤처진 수면 위상형),
2)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시간보다 이른 수면이나 각성 상태를 보이게 되는 것(앞당겨진 수면 위상형),
3) 수면을 취해야할 때 불면을 경험하다가도 낮시간에 졸림을 경험하는 등으로 불편감을 호소(불규칙한 수면 각성형)하는 경우는 주로 신경발달장애나 신경퇴행성질환에서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시설에 입원한 치매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수면각성장애는 우선 정신건강의학과 면담을 통해 수면장애 증상이 시작하게 된 시기나 특징, 사용하고 있는 약물을 확인하고 수면증상과 관련이 있는 신체/정신질환 여부에 대해 평가합니다. 신체측정을 통해 수면호흡장애 등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한 후 가장 가능성이 높은 수면장애 원인을 찾습니다.
우리가 일상생활을 규칙적으로 이뤄내는데는 수면으로부터 충천하는 에너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므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휴식을 갖는 수면의 질을 관리/유지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일시적으로 수면각성장애를 겪고 있다면 수면일기를 통해 정상적인 수면각성주기를 갖도록 생활패턴을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일기는 내가 자고, 일어나는 리듬을 직접 기록하며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 누운시간, 잠든 시간, 자다가 깨는 횟수나 주로 잠에서 깨는 시간대, 잠에서는 깨어났지만 누워있는 시간, 침대에서 일어나 활동을 시작하게 된 시간, 주관적인 수면만족도 등을 기록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일주일 이상 수면일기를 작성하면 이 기록은 개인의 수면패턴을 평가하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활동을 해야하는 낮시간 동안 지나치게 졸림증상이 이어지는 문제로 일상의 불편함이 발생되고 있다면 낮잠을 피해야하는 것이 중요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활동량을 높여주는 것(단 취짐 직전 격한 운동은 금물)이 필요합니다.
이외에도 취침환경을 만드는 것과 함께 불편이 지속된다면 수면검사를 통해 스스로가 겪는 수면장애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확인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이 오지 않는다고 흡연을 하거나 술을 마시는 행동은 수면구조를 깨트려 수면각성 장애를 심화시킵니다. 수면패턴은 우울 등의 기분장애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의 조화를 위해서라도 수면장애로 인한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면 참지 마시고 반드시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시기 바랍니다.
수면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대한수면의학회 https://sleep.or.kr/
대한수면학회 http://www.sleepmed.or.kr/intro.html